[애드센스]구글 애드센스 모바일 광고 넣기
인터넷 찾아봐서 그대로 따라하면 된다는데
여러분들은 그거 아세요?
남들은 그냥 따라서 하면 된다고 하는데
막상 내가 하면 안된다...
그러면 얼마나 열불이 터지는지 아시나요?ㅎㅎ
서식글로 지정해서 구글 모바일 광고 소스코드 붙여넣고 HTML체크해서 저장까지 해놓고
다른 글쓸때 다 쓰고 구글 광고가 나올 위치에 서식을 불러와서 다시 HTML로 저장하면
PC버전에서는 빈공간으로 나오고 모바일버전에서는 정상적인 광고로 나온다는데
이 망할 구글모바일광고때문인지 아니면 이 망할 티스토리 서식이 잘못된건지
개짜증이 폭발해서 못해먹겠다..라고 분노가 밀려올 때!
서식 붙여넣으면 나오라는 광고나 나올 것이이지
뭔 개똥같은 소스코드가 그대로 다 나온단 말이다!라고 화가 치밀어 오를 때!
.
.
.
.
....방금 전까지만 해도 폭발 일보 직전이었는데...
방금 해결책을 찾아서 해결했습니다...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에 앞서서 욕을 좀 해놓고 시작하겠습니다.
이제는 쓰지도 않을 모바일 콘텐츠라는 카테고리를 왜 아직도 그대로 놔두는지 구글 애드센스에게
진심으로 따지고 싶고 이러한 구글의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쓴 글을 수정도 하지 않고
'애드센스 모바일 광고달기'란 제목 등으로 부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수많은 티스토리어에게
책임을 묻고 싶네요...
본격적으로 글을 써보겠습니다.
1. 먼저 광고소스코드를 생성해야 합니다. 애드센스에 가서 '내광고'에 콘텐츠를 선택한 후 광고 단위를 선택합니다.
(어라? 모바일이니까 모바일 콘텐츠 아님? 하는 사람들이 있을텐데...
위에 써 놓았듯이 내가 그렇게 해서 안되길래 폭발할 뻔 했음...모바일 콘텐츠가 아니라 콘텐츠!)
2. 광고단위-> 새광고단위
여러분이 알아먹을 수 있는 이름을 배너에 써넣어주고
(나중에 광고가 여러개가 되면 헷갈리니까 이름을 붙여줍니다.)
광고크기는 320X50 모바일 배너!
광고유형은 보통 '텍스트 및 이미지/리치 미디어 광고'로 합니다.(자유선택)
대체광고는 무난하게 빈칸으로 표시
나머지는 기본으로 그냥 놔두시고 밑으로 쭉 내려가서 저장하고 소스코드 생성을 합니다.
3. 생성된 소스코드를 복사합니다.(컨트롤+C)
4.<중요> 배너광고는 티스토리 관리메뉴 skin.html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글을 쓸 때마다 본문에 일일이 삽입해주는 방식이기때문에
티스토리 글쓰기로 들어가면 나오는 '서식'과 같은 메뉴는 아무짝에 쓸모가 없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자꾸 어떤 사람들은 '서식'에 등록해서 하면 편하다는데...
안되잖아! 소스가 제대로 안나와서 배너가 안보이잖아! 안되는데 뭐가 편하냐 편하기는!
옛다~ 서식이다~ 옛다~ 너나 서식 많이 먹어라~ㅗ(ㅡ.ㅡ)ㅗ
일단 글쓰기로 들어가서 글을 씁니다. 그런다음 오른쪽 위에 HTML박스를 체크해줍니다.
그 다음 본문에서 구글 모바일광고가 나올 위치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킨 후
아까 3번에서 복사해두었던 구글광고 소스코드를 붙여넣기를 합니다.(컨트롤+V)
저장을 합니다.
PC와 모바일에서 배너가 잘 나오는지 확인을 합니다.
Tip. 구글광고는 바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페이지를 못찾겠다는 둥 아무것도 없는 투명 공간으로
나와도 당황하지 마세요. 10-15분 정도 지나면 보입니다.
그리고 모바일에서 보면 광고가 약간 오른쪽에 있어서 보기 않좋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소스를 고쳐주면 가운데 딱 맞게 잘 나옵니다.
<CENTER>
<DIV style="MARGIN-LEFT: -12px">
<SCRIPT type=text/javascript><!--
google_ad_client = "==========";
/* 구글 모바일광고1 */
google_ad_slot = "==========";
google_ad_width = 320;
google_ad_height = 50;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
</SCRIPT>
</DIV>
</CENTER>
(위 소스코드가 적힌 텍스트 파일입니다.)
밑에 모바일 광고를 넣어봤습니다. 모바일광고라고해서 모바일에서만 볼 수 있는게 아니라 PC에서도 같이 볼 수 있습니다.